전기대장 칼럼 '전기이론' (전자기기 : 직류기 전기자 반작용 이론 및 문제와 해설)

※ 전기대장의 칼럼


안녕하세요. 전기대장입니다.
오늘은 전기기기에서 전기자 반작용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.
직류기는 전기기기의 첫번째 파트에 나오지만 실제로 교류발전기보다 더 복잡한 구조입니다.
간단하게 알아야 하는 부분들만 정리해보겠습니다.


2. 전기자 반작용 이론 및 문제

 

<전기자 반작용 이론>

 

■ 전기자 반작용

전기자권선의 자속이 계자권선의 자속에 영향을 주는 현상을 말합니다.
시험에서는 전기자 반작용과 그에 대한 대책이 주로 나옵니다.

 


■ 전기자 반작용의 영향

1) 전기적 중성축 이동하여 자속의 왜곡
- 발전기에서는 회전 방향으로 이동
- 전동기에서는 회전 반대 방향으로 이동

2) 주자속 감소

3) 정류자 편간의 불꽃섬락 발생


■ 전기자 반작용에 대한 대책

1) 브러시를 새로운 중성축으로 이동
- 발전기에서는 회전방향으로 이동
- 전동기에서는 회전 반대 방향으로 이동

2) 보상권선 설치
보상권선은 주자극의 자극편에 슬롯을 만들어 전지가 반작용을 방지하는 대책으로 가장 유효한 방법입니다.

 


<전기자 반작용 관련 문제>

 

(1번) 직류 발전기의 전기자 반작용의 영향을 억제하는 효과가 가장 큰 것은?

① 균압환

② 탄소 브러시

③ 보극

④ 보상 권선


(2번) 직류 발전기에서 발생하는 전기자 반작용의 영향에 관한 설명으로 옳지 않은 것은?

① 전류의 파형은 찌그러지나 출력에는 변화가 없다.

② 자속을 감소시켜 부하 시 전압강하의 원인이 된다.

③ 전기자 중성축을 이동시킨다.

④ 정류자편 간 전압이 불균일하게 되어 섬락의 원인이 된다.


.

.

.

.

 

▶▶▶▶▶ [클릭] 문제해설 보러가기!!

 
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