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기대장 칼럼 '전기이론' (전자기기 : 전기자 권선법 이론 및 문제와 해설)

※ 전기대장의 칼럼


안녕하세요. 전기대장입니다.
오늘은 전기기기에서 전기자 권선법 이론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.
직류기는 전기기기의 첫번째 파트에 나오지만 실제로 교류발전기보다 더 복잡한 구조입니다.
간단하게 알아야 하는 부분들만 정리해보겠습니다.


2. 전기자 권선법 이론 및 문제

 

<전기자 권선법 이론>

 

■ 설명

직류 발전기에서 권선법은 크게 환상권과 고상권, 개로권과 폐로권, 단층권과 2층권으로 구분이 되며 용도에 따라 중권과 파권으로 구분됩니다.


직류기의 전기자 권선법으로 고상권, 폐로권 2층권이 채택합니다.

○ 고상권 : 안쪽으로 감지 않고 겉 표면에 코일을 배열 (cf. 환상권)
○ 폐로권 : 권선 시작점과 끝점이 만나게 되어 폐로 형성 (cf. 개로권)
○ 이층권 : 각 슬롯에 2개 코일변이 상하 2층에 겹치도록 넣는다. 중권과 파권으로 나뉜다. (cf. 단층권)


■ 중권과 파권의 비교

둘을 비교해서 시험에서 자주 나오기 때문에 간단하게 표로 만들어보았습니다.

  중권 파권
병렬회로수 P(극수) 2
용도 저전압, 대전류 고전압, 소전류
균압접속 4극 이상이면 균압 접속 필요 균압 접속은 필요 없다



<전기자 권선법 관련 문제>

 

(1번) 직류기의 권선을 단중 파권으로 감으면?

① 내부 병렬 회로수가 극수만큼 생긴다.

② 내부 병렬 회로수는 극수에 관계없이 항상 2이다.

③ 저전압 대전류용 권선이다.

④ 균압환을 연결해야 한다.

 

 

(2번) 단중 중권의 극수 p인 직류기에서 전기자 병렬 회로수 a는 어떻게 되는가?

① a = 2

② a = p

③ a = 2p

④ a = 3p


.

.

.

.

 

▶▶▶▶▶ [클릭] 문제해설 보러가기!!

 
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