※ 전기대장의 칼럼
안녕하세요. 전기대장입니다.
오늘은 전기기기에서 전기자 권선법 이론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.
직류기는 전기기기의 첫번째 파트에 나오지만 실제로 교류발전기보다 더 복잡한 구조입니다.
간단하게 알아야 하는 부분들만 정리해보겠습니다.
2. 전기자 권선법 이론 및 문제
<전기자 권선법 이론>
■ 설명
직류 발전기에서 권선법은 크게 환상권과 고상권, 개로권과 폐로권, 단층권과 2층권으로 구분이 되며 용도에 따라 중권과 파권으로 구분됩니다.
직류기의 전기자 권선법으로 고상권, 폐로권 2층권이 채택합니다.
○ 고상권 : 안쪽으로 감지 않고 겉 표면에 코일을 배열 (cf. 환상권)
○ 폐로권 : 권선 시작점과 끝점이 만나게 되어 폐로 형성 (cf. 개로권)
○ 이층권 : 각 슬롯에 2개 코일변이 상하 2층에 겹치도록 넣는다. 중권과 파권으로 나뉜다. (cf. 단층권)
■ 중권과 파권의 비교
둘을 비교해서 시험에서 자주 나오기 때문에 간단하게 표로 만들어보았습니다.
중권 | 파권 | |
병렬회로수 | P(극수) | 2 |
용도 | 저전압, 대전류 | 고전압, 소전류 |
균압접속 | 4극 이상이면 균압 접속 필요 | 균압 접속은 필요 없다 |
<전기자 권선법 관련 문제>
(1번) 직류기의 권선을 단중 파권으로 감으면?
① 내부 병렬 회로수가 극수만큼 생긴다.
② 내부 병렬 회로수는 극수에 관계없이 항상 2이다.
③ 저전압 대전류용 권선이다.
④ 균압환을 연결해야 한다.
(2번) 단중 중권의 극수 p인 직류기에서 전기자 병렬 회로수 a는 어떻게 되는가?
① a = 2
② a = p
③ a = 2p
④ a = 3p
.
.
.
.
▶▶▶▶▶ [클릭] 문제해설 보러가기!!
'칼럼|전기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전기대장칼럼] 전기이론 《전자기기 : 직류발전기의 종류 및 문제와 해설》 (0) | 2021.02.18 |
---|---|
[전기대장칼럼] 전기이론 《전자기기 : 직류기 전기자 반작용 이론 및 문제와 해설》 (0) | 2021.02.11 |
[전기대장칼럼] 전기이론 《전자기기 : 직류발전기의 구조 및 문제와 해설》 (0) | 2021.01.28 |
[전기대장칼럼] 전기이론 《회로이론 : 직류회로_전압 분배 법칙 및 문제와 해설》 (0) | 2021.01.21 |
[전기대장칼럼] 전기이론 《회로이론 : 직류회로_전류 분배 법칙 및 문제와 해설》 (0) | 2021.01.14 |
최근댓글